주요 내용
미국 8학년
코스: 미국 8학년 > 단원 6
단원 6: 도형의 합동과 닮음 (중등2학년)합동이 아닌 도형
학생이 어떤 원 두 개가 합동인지 강체변환을 사용하여 둘이 겹쳐지는지 알아보면 됩니다. 만든 이: 살만 칸 선생님
동영상 대본
브렌다는
평행이동과 축소를 이용해 브렌다는
평행이동과 축소를 이용해 원 M을 원 N에
포개었다고 합니다 원 M은 여기 있습니다 중심이 여기이고 이것이 원 M입니다 평행이동을 먼저
한 것처럼 보이네요 중심이 이 점에서
이 점으로 이동합니다 평행이동 후에
원은 여기 있게 됩니다 평행이동 후에
원은 여기 있게 됩니다 그리고 축소를 했습니다 축소의 중심은
점 N으로 보입니다 어떤 비율로 축소해서 정확히 N과 포개어지도록 했습니다 다 괜찮아 보입니다 브렌다는
이런 결론을 내렸습니다 여러 강체변환을 이용해 원 M을 원 N에 포개었으니
두 도형은 합동이라고요 원 M을 원 N에 포개었으니
두 도형은 합동이라고요 브렌다는 옳은가요? 동영상을 멈추고
생각해 보세요 같이 풀어봅시다 브렌다는 여러 변환을 이용해 원 M을 원 N에
포개기는 했습니다 평행이동과 축소를 사용했죠 모두 변환이 맞습니다 하지만 둘 다
강체변환은 아닙니다 여기에 물음표를 써 놓겠습니다 평행이동은 강체변환입니다 강체변환은 거리, 각도, 길이를
유지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강체변환은 거리, 각도, 길이를
유지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강체변환은 거리, 각도, 길이를
유지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축소는 강체변환이 아닙니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길이를 유지하지 않습니다 원의 반지름을
유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원의 반지름을
유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두 도형이 합동이려면 강체변환만을 이용해
포갤 수 있어야 합니다 브렌다가 축소를
사용했고 M을 N에 포개려면 사실 축소를
사용했어야만 합니다 M을 N에 포개려면 사실 축소를
사용했어야만 합니다 두 원의 반지름이
다르기 때문이죠 그래서 브렌다는 틀렸습니다 둘은 합동이 아닙니다 이 결론을 내릴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