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SAT
- Lesson 1: Central Idea and Evidence
- Lesson 2: Author's Purpose and Perspective
- Lesson 3: Word Choice and Words in Context
- Lesson 4: Synthesis/Paired Passages
- Lesson 5: Development and Evidence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6: Organization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7: Conventions/Sentence Formation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8: Conventions of Usage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9: The SAT Essay, part 1
- Lesson 10: The SAT Essay, part 2
- Lesson 11: Quantitative texts - Reading Test
- Lesson 12: Analyzing text structures - Reading Test
- Lesson 13: Relationships - Reading Test
- Lesson 14: Putting it all together - Reading Test
- Lesson 15: Quantitative Texts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16: Effective Language Use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17: Punctuation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18: Putting it all together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19: The SAT Essay, part 3
- Lesson 20: The SAT Essay, part 4
Lesson 11: Quantitative texts - Reading Test
Introductory Activity (20분)
- 학생들은 지문을 읽는 것 외에도, 시각자료를 동반한 지문 역시 "읽어야" 한다는 것을 배웁니다. Official Study Guide에서 설명하듯이, "역사/사회 지문 한 개와 과학 지문 한 개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시각자료(표, 그래프, 차트 등)도 시험에서 출제됩니다. 시각자료에 관한 문제들 역시 출제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첫 두 가지 종류는 상당히 비슷합니다).
- 한 개 이상의 시각자료에서 정보를 찾아내야 하는 문제
- 한 개 이상의 시각자료의 데이터에서 논리적인 결론을 내려야 하는 문제
- 한 개 이상의 시각자료에 나오는 정보를 동반되는 지문의 정보와 연결시키야 하는 문제
- 학생들은 학생 자료의 차트#1을 주의깊게 살펴봅니다. 다음 질문들에 대해 토론하며 차트를 분석해 봅니다.
- 차트의 제목이 무엇인가요? 어떤 정보들을 전달하고 있나요?
- x축과 y축은 무엇인가요? 무엇을 비교하고 있나요?
- 이 차트만 가지고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무엇인가요?
- 그리고, 학생들은 다음 SAT 3번 문제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해당 문제는 각 주장을 살펴보며 왜 해당 주장이 그래프에 뒷받침되는지 혹은 되지 않는지를 설명합니다. 필요하다면 해설의 일부분을 학생들과 공유하세요. 이 활동의 연장선으로, 그래프의 일부를 재구성해 틀린 주장을 맞게 만들어 볼 수도 있습니다. 시각자료의 어떤 부분이 바뀌어야 주장이 사실이 되나요? 추가적으로, 이 문제에 관한 동영상도 있습니다. 관련된 부분은 0:2:37:00부터 시작합니다.
Rationales for the Introductory Activity
Rationale for Question 3
C가 정답입니다. 그래프의 높은 막대들은 낮은 막대들에 비해 연간 출퇴근 지연시간이 길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연간 출퇴근 지연시간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D.C를 표시하는 막대는 왼쪽의 뉴욕시를 표시하는 막대보다 높으며, 이는 워싱턴 D.C의 자가용 출퇴근 이용자들은 연간 더 많은 지연을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는 오답이며, 이는 뉴욕시의 그래프 막대는 왼쪽의 대도시 평균을 의미하는 막대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이는 뉴욕시 자가용 출퇴근 이용자들이 더 적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지연을 해마다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B는 오답이며, 이는 로스엔젤레스의 그래프 막대는 오른쪽의 워싱턴 D.C.의 막대보다 더 낮기 때문입니다. 이는 로스엔젤레스의 자가용 출퇴근 이용자들이 더 많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적은 지연을 해마다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는 오답이며, 이는 디트로이트를 표시하는 그래프 막대는 오른쪽의 휴스턴, 애틀랜타, 시카고의 막대들보다 더 낮기 때문입니다. 이는 디트로이트 자가용 출퇴근 이용자들은 해마다 오히려 더 많은 지연을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Reading Test 에서 시각자료를 활용하는 또 다른 방법은, 학생들은 차트나 그래프의 정보를 지문의 정보와 연결해야 합니다. 이것과 관련해 학생들은 Lesson 1 에서 거북이와 "GPS"에 대한 지문에서 했었던 요약과 주석을 다시 살펴보아야 합니다. 학생들은 지문의 내용을 상기하면서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봐야 합니다. 또한 학생들은 그림이 전달하고 있는 정보를 요약해 보아야 합니다. 다음으로, SAT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세요. 다음과 같은 단계별 설명을 해주면서, 학생들이 시각자료와 지문을 연결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 우리는 지문을 통해 특수제작된 Ken Lohmann 의 실험실 탱크의 붉은바다거북 새끼들은 자기장이 반대로 바뀔 경우 "swimming in the opposite direction"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시각자료와 동반되는 부연설명을 통해, 우리는 그림의 지리적 북쪽은 0도로 표시된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는 동대서양의 카포베르데 섬 근처 특정 위치를 모의로 한 자기장 안에서 헤엄치는 붉은바다거북 새끼들은 일반적으로 남서향(218도 가량)을 향해 움직인다는 것, 그리고 기타 다른 정보들을 역시 알게 됩니다.
- 이러한 정보 조각들을 토대로, 우리는 만약 이 "East Atlantic"의 거북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이 반대로 바뀐다면, 새끼 거북이들 역시 방향을 바꿔 북동향을 향해 헤엄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 그러므로 정답은 B입니다.
- 학생들에게 시각자료가 SAT에서 활용되는 두 가지 방식인 지문과 별개로 읽고 해석하기와 지문과 연결하여 활용하기를 요약해서 알려주세요.
Pair/Group Practice (10분):
- 학생들은 학생 자료에 제시된 세계 디지털 정보에 관한 차트를 살펴보고 다음에 대해 토론해 봅니다.
A. 차트의 제목이 무엇인가요? 어떤 정보를 전달하고 있나요?
B. x 축과 y축은 무엇인가요? 무엇을 비교하고 있나요?
C. 이 차트만 가지고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무엇인가요?
- 다음으로, 학생들은 18번과 19번 문제의 가능한 답이 무엇인지 토론해 봅니다. 학생들은 왜 특정 답안들은 그래프에 뒷받침되지 않는지 설명해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정답 해설에 대해 토론하세요. 18번과 같이 아마도 사실이지만 그래프의 정보로는 뒷받침되지 않는 결론들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 봅니다.
Rationales for Pair/Group Practice
Rationale for Question 18
C가 정답입니다. 그래프(링크를 따라가세요)는 최근 몇 년 동안 만들어지고 공유된 디지털 정보의 꾸준한 증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2005년에 1 제타바이트 미만으로 시작하여 2015년에는 거의 8제타바이트로의 증가가 전망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 B와 D는 오답이며 이는 그래프에 나와있는 정보를 정확하게 요약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A와 B는 사실이겠지만 그래프의 정보로는 직접적으로 내릴 수 없는 내용들이며, D는 그래프의 세부 내용을 포함하지만 그래프를 요약하지는 못합니다.
Rationale for Question 19.
D가 정답입니다. 그래프(링크를 따라가세요)는 2012년에 만들어지고 공유될 디지털 정보는 2.5제타바이트일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래프가 만들어지고 공유될 디지털 정보의 꾸준한 증가를 보여주고 있고 2011년에는 이 양이 1.75제타바이트 가량 되었던 만큼, 그래프는 2012년 전망이 처음으로 2제타바이트 장벽을 넘어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는 오답이며, 이는 그래프가 전망하는 2012년 통계가 2011년과 2013년 E 통계와 일관되는 꾸준한 증가와 일치할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B는 오답이며, 이는 그래프는 2012년 통계가 2005년부터 시작된 증가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C는 오답이며, 이는 2012년 통계는 적어도 2015년까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Individual Practice (15분)
- 학생들은 곰의 겨울잠 행위에 관한 기사의 발췌문을 읽고 주석을 달아봅니다.
- 다음으로, 학생들은 발췌문 마지막의 그래프를 살펴보고 다음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A. 그래프의 제목이 무엇인가요? 어떤 정보를 전달하고 있나요?
B. x 축과 y축은 무엇인가요? 무엇을 비교하고 있나요?
C. 이 그래프만 가지고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무엇인가요?
D. 해당 그래프는 지문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나요?
- 학생들은 이제 28번과 27번 문제를 답해봅니다. 28번 문제는 그래프만 가지고 내릴 수 있는 결론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있으며, 27번 문제는 그래프를 지문의 특정 부분과 연결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 필요에 따라 정답 해설에 관해 학생들과 토론하세요. 27번에 나왔던 것처럼, 지문과 시각자료의 연결고리를 따라가는 데 시간을 꼭 투자하세요.
Rationales for Individual Practice
Rationale for Question 28
A가 정답이며, 이는 그래프에 따르면 일곱 마리 중 여섯 마리의 곰이 겨울잠 동안 증가된 플라즈마 콜레스테롤을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일곱 번째 곰의 플라즈마 콜레스테롤은 증가나 감소 하지 않았습니다.
B, C , D는 오답이며, 이는 그래프에 뒷받침되지 않는 답안이기 때문입니다.
Rationale for Question 27
A가 정답입니다. 그래프는 겨울잠 기간과 겨울잠이 아닌 기간 동안 일곱 마리의 곰에게서 검출된 총 플라즈마 콜레스테롤을 비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그래프는 겨울잠 기간 동안 콜레스테롤이 통상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열 번째 문단의 첫 번째 문장은 그래프가 보여주고 있는 현상을 정확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Recent analyses revealed that Scandinavian brown bears spend the summer with plasma cholesterol levels considered high for humans; those values then increase substantially for hibernation, Fröbert and his colleagues reported.”
B, C, D는 오답이며, 이는 열 번째 문단의 다른 어떤 문장도 겨울잠 기간과 겨울잠이 아닌 기간 동안 검출된 상대적 플라즈마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열 번째 문단의 두 번째 문장(링크를 따라가세요)은 겨울잠 동안 곰들이 어떻게 생활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열 번째 문단의 세 번째 문장은 곰들이 겨울잠 동안 경험하는 혈액순환 장애에 대해 설명합니다. 열 번째 문단의 다섯 번째 문장은 활동적이지 않고 비만인 사람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심장병의 위험도에 대해 설명합니다.
- 학생들은 SAT Reading Test 에서, 그래프와 차트를 읽는 능력을 스스로 평가해 봅니다.
Homework (20분)
학생들은 칸아카데미 Official SAT Practice 에서 계속 Reading Test를 연습하면서, 시각자료에 관련된 다음 질문들에 집중해야만 합니다. 모든 지문이 시각자료를 동반하는 것은 아니지만, 읽기 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시각자료가 나올 것입니다. 과학 혹은 사회 지문을 가지고 연습해서 그래프와 마주칠 확률을 높이는 것도 좋은 연습 방법입니다.
Student Materials: Lesson #11
Introductory Activity
Chart #1
Question 3
Which claim about traffic congestion is supported by the graph?
A. New York City commuters spend less time annually delayed by traffic congestion than the average for very large cities.
B. Los Angeles commuters are delayed more hours annually by traffic congestion than are commuters in Washington, D.C.
C. Commuters in Washington, D.C., face greater delays annually due to traffic congestion than do commuters in New York City.
D. Commuters in Detroit spend more time delayed annually by traffic congestion than do commuters in Houston, Atlanta, and Chicago.
This passage is adapted from Ed Yong, “Turtles Use the Earth’s Magnetic Field as Global GPS.” ©2011 by Kalmbach Publishing Co.
It can reasonably be inferred from the passage and graphic that if scientists adjusted the coils to reverse the magnetic field simulating that in the East Atlantic (Cape Verde Islands), the hatchlings would most likely swim in which direction?
A. Northwest
B. Northeast
C. Southeast
D. Southwest
###Group/Pair Activity
The following graph, from a 2011 report from the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projects trends in digital information use to 2015 (E=Estimated).
Question 18
Which statement best summarizes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graph?
A. Far more people around the world own computers and cell phones today than in 2005.
B. The number of people sharing digital information has more than tripled since 2005.
C. The volume of digital information created and shared has increased tremendously in recent years.
D. Th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created and shared is likely to be almost 8 zettabytes in 2015.
Question 19
According to the graph, which statement is true about th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projected to be created and shared globally in 2012?
A. Growth in digital information creation and sharing was projected to be wildly out of proportion to growth in 2011 and 2013 E.
B. Th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created and shared was projected to begin a new upward trend.
C. Th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created and shared was projected to peak.
D. Th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created and shared was projected to pass 2 zettabytes for the first time.
Independent Activity
Excerpts from text:
28) Which statement about the effect of hibernation on the seven bears is best supported by the graph?
A. Only one of the bears did not experience an appreciable change in its total plasma cholesterol level.
B. Only one of the bears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its total plasma cholesterol level.
C. All of the bears achieved the desirable plasma cholesterol level for humans.
D. The bear with the lowest total plasma cholesterol level in its active state had the highest total plasma cholesterol level during hibernation.
Question 27
What information discussed in the 3rd paragraph of the excerpt is represented by the graph?
A. The information in sentence 1 of paragraph 3: “Recent analyses revealed that Scandinavian brown bears spend the summer with plasma cholesterol levels considered high for humans; those values then increase substantially for hibernation, Fröbert and his colleagues reported.”
B. The information in sentence 2 of paragraph 3 : “These ‘very, very fat’ bears with high cholesterol also get zero exercise during hibernation.”
C. The information in sentence 3 of paragraph 3: “Lolling about in the den pinches off blood vessels, contributing to sluggish circulation.”
D. The information in sentence 5 of paragraph 3: “It’s a recipe for hardened arteries, putting people at risk for heart attacks and stro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