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SAT
단원 4: 수업 14
교사가 만든 교사를 위한 SAT Reading & Writing 수업 계획- Lesson 1: Central Idea and Evidence
- Lesson 2: Author's Purpose and Perspective
- Lesson 3: Word Choice and Words in Context
- Lesson 4: Synthesis/Paired Passages
- Lesson 5: Development and Evidence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6: Organization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7: Conventions/Sentence Formation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8: Conventions of Usage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9: The SAT Essay, part 1
- Lesson 10: The SAT Essay, part 2
- Lesson 11: Quantitative texts - Reading Test
- Lesson 12: Analyzing text structures - Reading Test
- Lesson 13: Relationships - Reading Test
- Lesson 14: Putting it all together - Reading Test
- Lesson 15: Quantitative Texts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16: Effective Language Use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17: Punctuation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18: Putting it all together - Writing and Language Test
- Lesson 19: The SAT Essay, part 3
- Lesson 20: The SAT Essay, part 4
Lesson 10: The SAT Essay, part 2
The SAT Essay—Part Two
Note: 해당 lesson은 학생들이 Lesson 9 에서 SAT Essay에 대하여 이미 배웠다고 가정합니다.
Focus: SAT® Essay의 채점 방식과 논지에 대하여 익숙해지기
Student objectives
- 에세이가 어떠한 부분들에서 채점되는지 이해하기
- 연습 에세이의 효과적인 논지 작성하기
Before the lesson
☐ 학생들이 The SAT Essay—Part One (Lesson 9)을 공부하였는지 꼭 확인하세요.
☐ Using Khan Academy’s® SAT Essay Practice 를 복습하세요.
☐ 학생 자료를 예습하고 필요하다면 프린트하세요.
Introductory Activity (30 분)
- 학생들에게 다음의 부분들에서 에세이가 채점된다는 것을 상기합니다.i. Reading: 지문의 이해도를 얼마나 잘 보여주었는지ii. Analysis: 지문을 얼마나 잘 분석하였고, 글쓴이가 독자를 설득하기 위해 주장을 설립한 방식에 대해 잘 설명하였는지 iii. Writing: 얼마나 기술적으로 뛰어난 에세이를 작성하였는지
- 학생들이 학생 자료의 채점 가이드 중 한 가지 부분(Reading, Analysis, Writing)에 대해 가장 낮은 점수 (1) 부터 가장 높은 점수 (4) 까지 살펴보게 하세요. 그리고 각기 다른 점수들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단어나 구절을 표시하게 하세요. 예를 들면, 읽기 부분의 "skillful use of textual evidence" 라는 부분을 표시해도 됩니다
- Lesson 9에서 살펴보았던 Student Sample 1으로 잠깐 돌아가 보세요. 해당 샘플은 모든 부분에서 3점을 받았습니다. 아래의 해설을 활용해 이 샘플이 이러한 점수를 받은 이유에 대해 토론해 보세요. 학생들이 해당 에세이가 왜 "proficient" 라는 평가를 받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ationale for Student Sample #1 Scores
Reading—3: 해당 에세이는 지문을 효과적으로 이해했음을 잘 보여줍니다. 주제가 서론에서 명백하게 서술되지는 않았지만, 글쓴이는 굿먼의 주장의 요점을 정확하게 찾아냅니다: 이는 미국의 신문들의 해외 특파원의 감소에 대한 굿먼의 우려입니다. 글쓴이는 또한 다음 문장 (Goodman begins with a census from year 2003 and year 2011) 을 명확하게 바꿔 서술하고 지문의 중요한 디테일을 인용하여 깊은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면, 두 번째 본문 문단에서 글쓴이는 직접적인 체험을 통한 지식의 가치와 소셜미디어 사이트의 부정확한 정보의 문제를 관련짓는 굿먼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잘 따라갑니다. 이를 통해 글쓴이는 소셜미디어의 장단점에 대한 굿먼의 논의를 잘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 해당 에세이는 능숙한 독해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nalysis—3: 해당 에세이는 좋은 이해도를 통한 효과적인 지문 분석을 보여줍니다. 글쓴이는 지문의 다양한 요소들이 어떻게 굿먼의 주장에 일조하고 지문에 설득력을 부여하는지에 대해 논의합니다. 예를 들면, 글쓴이는 다음 문장 (He further builds and enhances his argument when he states that there must be a way to “engage readers, while retaining the core values of journalism”)에서 보듯이, 굿먼이 어떻게 통계 자료를 활용하고 논리적 추론을 통해 소셜미디어에 대한 주장을 펼치는지에 대해 논의합니다. 또한 글쓴이는 다음 문장 (Goodman utilizes rhetoric after he presents the fundamental advantage of crowd-sourcing on the web, when he asks a rhetorical question)에서 보듯이, 굿먼이 7문단 마지막에서 수사적 질문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다음 문장 (Goodman’s use of logic occurs throughout his passage; Goodman employs logic, basic reasoning and evidence presentation in order to raise concern, curiosity, and questions from the reader; Reason allows Goodman to construct upon his solid foundation of evidence; Rhetoric seals the deal)에서 보듯이, 글쓴이가 때로 설득 요소에 대해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에세이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세 번째 문단의 굿먼의 수사문의 활용에 대한 논의)에서 글쓴이는 효과적으로 주제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해당 에세이는 능숙한 분석을 해내고 있습니다.
Writing—3: 해당 에세이는 잘 응집되어 있고 효과적인 언어 사용을 보여줍니다. 글쓴이는 다음 문장 (What truly persuades his audience is his use of logic, reason, and rhetoric. These occur in forms of examples, explanations and conclusions, and persuasive and rhetorical statements)에서 보듯이, 굿먼이 주장을 설립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나열하여 효과적인 서론을 제공합니다. 에세이는 또한 요약성의 결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 개의 본문 문단들은 글쓴이가 선택한 세 가지 요소: 논리, 근거, 수사문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문단 간의 전개 부분을 제외하고는, 각 문단들은 아이디어의 명확한 진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 문장 (Goodman’s use of reason; Goodman uses reason; Goodman also uses reason)과 같이, 에세이가 반복적이거나 다소 어색한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글쓴이의 단어 선택은 대체로 훌륭합니다. 에세이는 또한 다양한 문장 구조를 활용하고 격식 있고 객관적인 어조를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해당 에세이는 능숙한 글쓰기를 보여줍니다.
- 학생들은 Student Sample 2를 읽어보고 작가의 근거, 논리와 스타일적 요소에 대한 활용을 분석한 부분들을 찾아봅니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채점 지시문에 따라 샘플을 채점하고 점수에 대한 근거를 설명해 봅니다. 마지막으로, 샘플의 실제 점수와 해설문을 살펴봅니다. 학생들은 궁금하거나 걱정되는 부분들을 해결해 봅니다. 특히, 해당 예시는 지문을 요약하기만 하고 글의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거의 분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합니다.
Rationale for Student Sample #2 Scores
Reading—2: 해당 에세이는 굿먼의 지문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글쓴이는 뉴스 단체들이 미국인들에게 해외 뉴스를 더 많이 제공해야 한다고 이야기함으로써, 굿먼의 주제에 대해 이해했음을 보여줍니다. 글쓴이는 다음 문장(it’s seen very often that when news organization ask for a review by a reader/viewer they might end up to feel marginal); Goodman . . . noticed that the decline was taking place around the time in which America was in the middle of two wars overseas)에서 보듯이, 지문의 몇 가지 디테일을 포함시켰지만, 해당 디테일들은 대부분 주제와 무관합니다. 에세이에서 지문을 토대로 한 근거의 활용은 제한적이며, 따라서 글쓴이가 중요한 디테일들이 주제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실치 않습니다. 또한, 글쓴이가 주장을 잘못 이해했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몇 가지 있습니다. 예를 들면, 글쓴이는 굿먼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유는 그가 뉴스는 리포터가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닌,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는 것을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전체적으로, 해당 에세이는 부분적인 독해 능력만을 보여줍니다.
Analysis—1: 해당 에세이는 분석에 대한 아주 적은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글쓴이는 굿먼이 독자의 감정에 호소하고 있다고 말함으로써, 지문의 설득 기술 한 가지를 찾아냅니다. 그러나, 글쓴이는 이를 더욱 분석하거나 해당 예시가 어떻게 독자의 감정에 호소하는지에 대해서 추가적인 설명을 하지는 않습니다. 글쓴이는 외려 요약에만 집중하고 굿먼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에세이의 나머지 부분에서, 글쓴이는 지문을 요약하며 굿먼의 근거 활용을 제시하기만 하고 분석을 하지는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해당 에세이는 적절치 못한 분석을 하였습니다.
Writing—2: 해당 에세이는 제한적인 응집과 작문 기술만을 보여줍니다. 글쓴이는 주제를 제시하지만, 서론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각 문단들은 아이디어의 진행을 어느 정도 보여주지만, 이 아이디어들은 문단 간에 그리고 글 전체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글쓴이의 단어 선택은 막연하며, sentence structure는 다음 문장 (Peter S. Goodman offers; He appeals; Goodman gives; He talks)에서 보듯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주어-동사 구조만을 유지합니다. 몇 가지 언어적 사용의 오류가 글의 전체적인 질을 떨어뜨리지만 이는 글의 이해를 심각하게 방해할 정도는 아닙니다. 전체적으로, 해당 에세이는 부분적으로 성공적인 작문 능력을 보여줍니다.
Group/Pair Practice (10분)
- 학생들이 조를 이루어 (학생 자료에 포함된) 적어도 한 개의 샘플 논지를 살펴보게 하세요. 학생들이 해당 샘플이 왜 효과적이며 에세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로드 맵을 구축하는지 설명해 보게 하세요.
Independent Practice (10 분)
- 학생들이 지문 “Bag Ban Bad for Freedom and Environment” 을 읽어보고 작가가 어떻게 근거, 논리와 스타일적 요소를 활용하였는지 찾아보게 하세요.
- 다음으로, 학생들은 SAT 프롬프트에서 쓰게 될 에세이의 논지를 각자 작성해 보아야 합니다. 학생들에게 주어진 과제는 작가의 주장에 동의 혹은 반대하는 것이 아닌, 작가가 주장을 설립하는 방식으로 살펴보는 것임을 상기시켜 주세요.
-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각자의 논지를 조원들과 공유해보고 피드백을 받아보게 하세요. 작성한 논지가 전에 살펴보았던 샘플들과 가까운 형태인지 학생들이 잘 확인해보게 하세요.
Homework (50분)
학생들은 Tips and Strategies 탭에 있는 “Using Khan Academy’s SAT Essay Practice” 를 읽어 봅니다.
칸아카데미 Official SAT Practice®의 에세이 연습 탭에서 완전한 답변을 작성할 준비가 된 학생들을 지도하세요. 학생들은 완전한 에세이를 작성하는 것을 연습해보고 곧바로 피드백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교사들은 익명의 학생 한 명의 샘플을 다음 수업 때 공유하고 토론해 보아도 됩니다. 아직 완전한 에세이 작성을 할 준비가 되지 않은 학생들은 대신 완전한 논지를 작성하고 글의 윤곽을 잡아 보면 됩니다.
205페이지에서 시작하여, 해당 지문에 대한 적어도 세 가지 학생 샘플 을 더 읽어보세요.
Student Materials—Lesson 10
Introductory Activity
The SAT Essay 채점 기준표
Score | Reading | Analysis | Writing |
---|---|---|---|
3 Proficient | 해당 에세이가 지문을 잘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지문의 주제(들)와 중요한 디테일들을 잘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에세이에 사실에 대한 중대한 오류나 잘못된 해석이 보이지 않습니다. 에세이가 인용이나 문장 바꾸어 쓰기 등을 통해 지문에 기반한 근거를 적절히 활용하며 깊은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 에세이가 지문의 효과적인 분석을 보여주고 분석 과제에 대해 좋은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작가의 근거, 논리와 설득 및 스타일적 요소들의 활용, 그리고 학생이 선택한 다른 요소들 등에 대해 완전히 분석하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주장에 대해 관련성 깊고 충분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분석 과제에 가장 관련성 높은 요소들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에세이가 대체로 응집되어 있고 효과적인 use of language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주제 혹은 내재된 주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효과적인 서론과 결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각 문단 내와 글 전체적으로 명확한 아이디어의 진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다양한 sentence structure를 가지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정밀한 단어 선택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격식 있는 스타일과 객관적인 어조를 유지합니다. 에세이가 통상적인 작문 영어의 관례들을 잘 알고 있음을 보여주며, 글의 질을 떨어뜨릴 정도의 중대한 오류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
2 Partial | 에세이가 지문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지문의 주제를 이해하고 있지만, 중요한 디테일을 놓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사실적 오류나 잘못된 해석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인용 또는 문장 바꾸어 쓰기를 통해 제한적이거나 무계획적인 지문에 기반한 근거 활용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문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도만을 보여줍니다. | 에세이가 지문의 제한적인 분석만을 보여주며, 분석 과제의 부분적인 이해도만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작가의 근거, 논리 그리고 스타일적 및 설득 요소들, 그리고 학생이 선택한 기타 요소를 찾아내고 설명하지만, 이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지 않고 단정적으로만 설명합니다. 혹은 에세이가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지문에 기반하지 않아 출처가 불분명합니다. 에세이가 주장에 대해 없거나 제한적으로만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분석 과제와 가장 관련성이 깊은 요소들에 대해 명확한 중점을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 에세이가 응집되어 있지 못하고 제한적인 use of language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명확한 주제나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글이 진행됨에 따라 주제에서 벗어납니다. 에세이가 효과적이지 못한 서론이나 결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각 문단 내에서 아이디어의 진행을 어느 정도 보여주지만, 글 전체적으로는 그렇지 못합니다. 에세이가 제한적이거나 반복적인 sentence structure만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막연하거나 애매모호한 단어 선택을 보여주거나, 반복적인 단어만을 사용합니다. 에세이가 격식 있는 스타일과 객관적인 어조에서 현저히 동떨어져 있습니다. 에세이가 통상적인 작문 영어 관례에 대해 제한적인 이해도를 보여주고 글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리거나 이해를 방해할 정도의 오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
1 Inadequate | 에세이가 지문에 대한 이해도를 거의 보여주지 못합니다.에세이가 지문의 주제를 이해하지 못하고 주제에 관련되지 않은 디테일 몇 가지만을 제시합니다. 에세이가 많은 사실적 오류와 잘못된 해석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인용 혹은 문장 바꾸어 쓰기를 통한 지문에 기반한 근거를 거의 활용하지 않습니다. | 에세이가 지문에 대해 효과적이지 못한 분석을 하거나, 분석을 아예 하지 않음으로써 분석 과제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작가의 근거, 논리, 설득 및 스타일적 요소의 활용 또는 학생이 선택한 기타 요소 몇 가지를 찾아내지만 이에 대한 설명을 하지는 않습니다. 에세이의 분석의 많은 부분이 지문에 기반하지 않아 출처가 불분명합니다. 에세이가 주장을 거의 뒷받침하지 않거나, 관련성 없는 근거를 제시합니다. 에세이가 과제와 관련성 높은 요소들에 집중하지 않습니다. 에세이가 그렇다 할 만한 분석을 보여주지 못합니다 (예를 들면, 거의 혹은 전부 요약하기만 합니다). | 에세이가 거의 응집되어 있지 않고 use of language에 있어서 제한적인 능력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주제나 주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에세이가 명확한 서론과 결론을 가지고 있지 못합니다. 에세이가 이렇다 할 만한 아이디어의 진행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에세이가 sentence structure를 다양하지 활용하지 못하고, 반복적인 sentence structure를 사용합니다. 에세이가 막연하고 애매모호한 단어 선택을 보여주거나, 정확하지 않은 단어 선택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격식 있는 스타일과 객관적인 어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에세이가 통상적 작문 영어 관례에 대한 낮은 이해도를 보여주고, 글의 질을 떨어뜨릴 정도의 수많은 오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
###STUDENT SAMPLE #2
Pair/Group Activity
학생 샘플 채점:
- Goodman’s argument becomes powerful through the use of pathos, using evidence, and also embracing reasoning.
- Peter S. Goodman builds a solid argument for the growing need for foreign news coverage and utilizes concrete evidence, logical reasoning and persuasive appeals to not only expose the paucity of international news feeds, but also convince his audience that it is crucial that news organizations increase the amount of foreign news coverage provided to Americans.
- Peter S. Goodman uses many different types of evidence to support his claims and persuade his audience that news organizations should increase the amount of professional foreign news coverage provided to Americans.
- Goodman builds an argument to persuade his audience that news organizations should increase the amount of professional foreign news coverage to the Americas through the presentation of statistics, connections to social media as well as using specific diction to establish his argument.
Score | Reading | Analysis | Writing |
---|---|---|---|
4 Advanced | 에세이가 지문의 완전한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지문의 주제와 가장 주요한 디테일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글 전체를 완전히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사실적 오류나 해석의 오류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에세이가 인용 혹은 문장 바꾸어 쓰기를 통한 지문에 기반한 근거를 적절히 활용하여 지문에 대한 완전한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 에세이가 지문에 대한 깊은 분석을 제시하고 분석 과제에 대해 복합적인 이해도를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작가의 근거, 논리, 스타일적 혹은 설득 요소 그리고 학생이 선택한 기타 요소의 활용에 대해 빈틈없고 사려 있는 분석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주장에 대해 관련성 깊은 근거를 충분히, 그리고 전략적으로 선택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과제에 대해 가장 관련성 높은 부분을 지문에서 선택하여 이에 계속해서 집중합니다. | 에세이가 잘 응집되어 있고 아주 효과적이고 능숙한 use of language를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명확한 주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능숙하게 쓰여진 서론과 본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의도적이고 아주 효과적인 아이디어의 진행을 각 문단 내에, 그리고 글 전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굉장히 다양한 sentence structure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에세이가 일관적으로 명확한 단어 선택을 보여줍니다. 에세이가 격식 있는 스타일과 객관적인 어조를 유지합니다. 에세이가 통상적 작문 영어 관례에 대해 높은 이해도를 보여주며 오류를 거의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
Independent Practice
다음 지문을 읽고 아래 차트의 내용을 찾아보세요. 마치 지문에 대한 에세이를 쓰듯이, 스스로 논지를 작성할 준비를 하세요. 작가의 주장에 동의 혹은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주장을 어떻게 설립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Evidence | Logical Reasoning | Stylistic Elements | |
---|---|---|---|
Adapted from Adam B. Summers, "Bag Ban Bad for Freedom and Environment." ©2013 by The San Diego Union-Tribune, LLC.
Originally published June 1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