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re seeing this message, it means we're having trouble loading external resources on our website.

웹 필터가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으면 도메인 *. kastatic.org*.kasandbox.org이 차단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주요 내용

성장 마인드셋 함양하기

아무리 열심히 공부하던, 얼마나 오래 준비하던, 시험 날 얼마나 컨디션이 좋던 모든 것이 항상 계획한 대로 흘러가지는 않습니다. SAT 시험을 원하는 만큼 잘 보지 못했을 수도 있고, SAT 시험 준비 과정에서 원하는 만큼 물리학 부분을 공부하지 못했을 수도 있고, 다 괜찮은 줄 알았는데 여러분이 원하는 대학교에 합격하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모두에게 좌절할 만한 일은 일어나는데, 실패했을 때 온 세상이 무너지는 느낌이 들 수도 있지만 우리는 힘든 일을 겪는 과정에서 놀라울 만큼 배우고 성장합니다.
"growth mindset"은 부지런함, 투지, 끈기를 수용하는 것이 지능과 능력을 위한 결정적인 요소라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입니다. 태어날 때 똑똑하게 태어나거나 성공적인 환경에서 태어나야 한다고 생각하는 "fixed mindset"과 달리 growth mindset은 실패와 좌절이 지식을 얻고 무엇을 성취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칸아카데미는 뇌가 시험에 들 때마다 강해지는 근육이라고 믿습니다. 실패하지 않는다면 배울 수 없습니다!
고등학교에서 가장 스트레스가 많을 이 시기에 지난 몇 년 동안 여러분이 배우고 성장했는지 생각해 보세요. 여러분이 실패했던 적들을 포함해서요. 나중에 좌절하고 있는 여러분을 발견한다면 그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다시 한다면 무엇을 다르게 할지 생각해 보세요. 모든 게 얼마나 잘 해결될지 놀랄 겁니다. 여기서 growth mindset에 대해 더 배워보세요. growth mindset을 이용해 좌절을 성공으로 바꾼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학업적 실패
"저는 첫 IB 물리학 시험에서 2점[최대 7점]을 받았어요. 선생님은 물리학이 어려우니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고 전에 말씀하셨어요. 시험 전까지 저는 필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어요. 아무것도 필기하지 않았고 교과서도 거의 보지 않았어요. [실망스러운] 시험을 보고 나서는 모든 것을 필기하기 시작했어요. 기사를 읽거나 어떤 현상을 관찰하고 나면 나중에 기억할 수 있도록 적어 놓았어요. 이것은 다음 시험을 위해 공부할 때 아주 큰 도움이 되었어요. 이제 저는 가볍게 6점을 받아요. 모든 것을 필기하면서 세상에 제가 몰랐던 흥미로운 것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지식에 대한 제 애정을 키웠어요. 이제 저는 제가 배우는 모든 것을 좋아하고 제가 좋아하는 모든 것에 대해 배워요. 아주 좋은 관계죠. 제 학점에도 영향을 미쳤어요." -에릭
"맨 처음 SAT를 봤을 때 굉장히 실망했어요. 제 점수는 제가 원하는 것보다 훨씬 모자랐고 더 나아질 수 있는지도 확실하지 않았죠. 아마 자만과 함께 충분히 준비되지 않아서 육체적, 정신적으로 힘든 시험 과정 때문이었을 거예요. 그리고 시험을 6월에 봤는데 4시간짜리 시험을 준비하는 것보다 여름의 자유가 훨씬 유혹적이었죠. 어쨌든 저는 점수를 올리지 못하면 제가 원하는 대학에 갈 기회가 지나갈 것이고 지나간 기회를 다시 잡을 방법은 없죠. 저는 실패한 경험을 더욱 열심히 공부하고 처음에 했던 실수를 정면으로 마주했어요. 뻔한 이야기지만 압력이 석탄을 다이아몬드로 만들죠. 그다음 SAT를 보았을 때는 제가 원하던 점수를 받았어요." -희주
"10학년 때 영어 시험을 원하던 만큼 잘 보지 못했어요. 들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막상 답안을 적으려고 보니 생각을 제대로 모으지 못하고 제 자신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했어요. 그러고 나서 저는 제 영어 실력을 기르는 데 훨씬 많은 노력을 하고 천천히 빠른 순간에 생각을 모으고 쓰는 능력을 길렀어요. 그리고 이 경험 이후 저는 분석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었는데, 이는 영어에서뿐만 아니라 제 삶의 다른 부분에까지 영향을 미쳤어요." 루시
"수학 시간에 쪽지시험을 본 적이 있었어요. 그 해 첫 시험이라 열심히 공부했죠. 시험을 잘 보았고 자만감이 생기기 시작했어요. 빠르게 이번 시험을 잘 봤으니 다음 시험도 이렇게 쉬울 거라고 생각해 열심히 공부하지 않았죠. 하지만 제대로 공부하지 않았으니 시험을 완전히 망쳤답니다! 수학 점수가 아주 많이 내려가는 걸 보면서 제 자신에게 실망했어요. 하지만 이 실패를 통해 성공은 열심히 노력해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모두 실패할 때가 있지만 괜찮아요. 중요한 건 실패한 경험에서 배워서 여러분을 더 개선하는 거예요!" -파비
"역사 과목에서 정말 집중할 수 없는 단원이 있었어요. 스트레스도 많고 피곤해서 거의 제대로 수업을 듣지도 못하고 아주 헷갈리는 필기를 했어요. 시험 바로 전날까지 공부를 미루었는데 그 단원을 배우기 시작하기 전 보다 그 주제에 대해 아는게 전혀 없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시험에서 논술 부분이 최악이었어요. 어떤 나라의 정부 구조와 다른 나라의 지도자에 대해 쓰는 문제였는데 배운 것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조차 없다는 걸 증명했죠. 시험 점수는 제 생에 제일 낮은 점수였어요. 그 때부터 그 해가 끝날 때까지 충분히 수면을 취해서 매 수업마다 집중하고 모든 질문에 답을 얻을 때까지 교실을 떠나지 않았죠. 결국 나머지 시험에선 좋은 점수를 받아 반에서 그 과목에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았고 저희가 배우던 것들이 아주 흥미롭다는 것도 알게 되었죠." -엘리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오래된 말이 있는데 어떻게 성공을 정의하는냐에 따라 정말 사실이 될 수 있어요. 어려운 일을 겪고, 좌절하거나 실패하는 것은 여러분이 하는 무언가가 잘 되고 있지 않으니 다른 방식을 사용해 보라는 알림이 될 수 있어요. 고등학교에 입학했을 때 저는 시험을 완전히 망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어요. 첫 시험을 완전히 망쳤고 어떻게 그런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 의아해했죠. 무엇이 잘못되었던 걸까요? 곧 제가 시험을 준비하는 방식이 제게 맞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헷갈리는 개념이 있으면 선생님께 물어보고 직접 설명을 듣는 것보다 교과서를 찾아보았어요. 제가 공부에 쏟는 시간으론 개념들을 확실히 하기 충분하지 않았고, 공부 방식도 정리되어 있지 않아서 시험에 무엇이 나올지 생각할 수 없었죠. 이런 문제가 익숙하다면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을 것이라는 것도 아시겠죠. 제 공부 방식을 되돌아보고 수업과 내용에 알맞게 바꾸어야 했어요. 모르는 게 있을 땐 교과서나 필기를 확인하는 방법보다 직접적인 도움을 찾는 것이 중요했죠. 홀로 필요한 자료를 잘 찾는 것과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것의 적절한 균형을 찾는 것은 학교생활을 잘 하는 데 중요해요. 일반적으로 여러분이 하는 모든 것에 장애물과 성공이 존재해요. 중요한 건 a) 포기하지 않고, b) 틀린 것에서 배우는 거예요. 장애물을 성공을 향한 디딤돌로 사용하세요. 성공이란 정의하기 나름이니 원하는 것을 정의하고 배운 것을 사용하여 더 나은 학생이 되어 보세요." 에밀리
개인적 실패
"여름에 무언가 조사하고 있었는데 제 프로젝트를 끝낼 수도 있는 문제를 발견했어요. 요약하자면 프로젝트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공포를 사용해 허덕이며 다른 해결책을 찾았고 결국 해답을 찾아냈어요. 실패를 이용해 더욱 좋은 아이디어를 찾는 방법을 배웠어요." -아니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가는 과정은 꽤 힘들었어요. 해야 하는 일의 양과 새로운 수업 방식에 익숙하지 않았어요. 저는 수학이 특히 어려웠어요. 겁나는 새로운 사람들과 한 교실에 있게 되었죠. 다른 학생들과 선생님들에게 말하는 것이 어려웠어요. 예상할 수 있듯이 그 과목의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그 경험에서 얻은 교훈이 있어요. 필요할 때 항상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죠. 그로써 배우는 과정을 더 흥미롭게 만들고 주제에 대해 더 많을 것을 배울 수 있어요. 그리고 한 과목에서 좋지 못한 성적을 내어도 괜찮다는 것을 배웠어요. 모든 시험에서 완벽한 점수를 얻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필요치 않은 압박감을 받을 수 있어요. 실수를 통해 배우고 배운 내용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어요." -티파니
"작년 학교의 리더십 클래스에 들지 못했어요. 하지만 실망감은 학교 어떻게 학교 리더십 활동을 다른 방식으로 이어나가고 실망감에 대처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훈이 되었어요. 지금 저는 시의 청소년 리더십 그룹에 참여하고 있고 한 부분에 대한 실망감이 다른 부분에선 축복이었다고 말할 수 있어요. 모든 실패를 실패가 아닌 더 크고 밝은 행운의 기회로 바라보세요." - 루비
"8학년 때 고등학교 입학시험을 보았는데 35점 차이로 통과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았어요. 브루클린 테크 고등학교는 제 꿈의 학교였어요. 당연히 엄청난 충격을 받았지만 브루클린 테크 고등학교 없이도 제 운명에 있는 모든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이겨냈어요." -로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