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확률과 통계
히스토그램 복습
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은 숫자 자료를 동일한 폭의 통으로 그룹화하여 자료를 나타냅니다. 각 통은 막대로 나타내고 각 막대의 높이는 해당 통에 포함되는 자료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통은 "간격", "계급", "버킷"이라고도 불립니다.
히스토그램 만들기
다음은 최근 골프 경기에서 루이자의 드라이버 비거리(m) 8개입니다.
다음과 같이 자료를 가지고 히스토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1 단계: 각 통의 폭을 결정하세요. 통의 폭을 50으로 정하면 0에서 250의 범위 내에 5개의 통으로 모든 자료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몇 개의 통을 사용해야 한다는 정확한 규정은 없습니다. 단지, 통을 너무 조금 사용하거나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것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2 단계: 각 통에 얼마큼의 자료가 들어가는지 정하세요.
드라이버 비거리 (m) | 측정값 | 횟수 |
---|---|---|
0-49 | 23 | 1 |
50-99 | 78 | 1 |
100-149 | 130, comma, 147 | 2 |
150-199 | 156, comma, 177, comma, 184 | 3 |
200-249 | 213 | 1 |
3 단계: 간격의 폭을 50으로 잡고, x축의 범위를 0에서 250으로 합니다. x축에 "드라이버 비거리 (m)"라고 적습니다.
4 단계: y값의 최댓값은 3이므로, y축의 범위를 3 이상으로 합니다.
5 단계: 각 간격에 알맞은 막대를 그립니다. 막대의 높이는 해당 간격에 속한 횟수와 동일해야 합니다.
히스토그램 만들기에 대해 더 배우고 싶으세요? 이 동영상을 확인해 보세요.
이와 같은 문제를 더 풀어보고 싶으신가요? 연습문제도 풀어보세요.
대화에 참여하고 싶으신가요?
- 홀란드가 좋아요?음바페가 좋아요?(추천 0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