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부분과 전체의 비
부분: 전체의 비를 사용하여 전체 과일에 대한 한 종류의 비를 비교해 봅시다. 만든 이: 살만 칸 선생님
동영상 대본
비(ratio)를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보죠 사과와 오렌지의 비 말고 전체 과일의 수와
사과의 비를 따져 봅시다 동영상을 잠깐 멈추고
비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세요 모두 몇 개의 사과가 있죠? 2, 4, 6, 8 총 8개의 사과가 있네요 과일은 총 몇 개가 있죠? 8개의 사과가 있고 3, 6, 9, 12
12개의 오렌지가 있으니 과일의 총 개수는 8+12= 20
20개가 있네요 그래서 사과에 대한
총 과일의 수의 비는 8 대 20 입니다 간단히 표현하고 싶으면
양쪽을 4로 나눠주면 됩니다 4는 8과 20의 최대공약수니까요
4로 나눠도 같은 비죠 8 나누기 4는 2, 20 나누기 4는 5 2 대 5 자, 여기까지 이해되시죠? 이제 네 그룹으로 묶어
생각해 볼게요 네 그룹으로 묶어보면 한 묶음, 두 묶음
세 묶음, 네 묶음 이네요 이 4개의 묶음이
사과나 오렌지를 자르지 않고 나눠 가질 수 있는
가장 많은 묶음이 되겠네요 한 묶음에 2개의 사과가 있고 1, 2, 3, 4, 5
총 5개의 과일이 있네요 2개의 사과를 포함한
총 5개의 과일이 있어요 여기서 비를 나타내는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바로 분수 표기법입니다 2대 5는 분수 5분의 2로 나타내요 분수로 쓸 때는 각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는게 굉장히 중요한데 5분의 2는 과일 중에서
사과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해요 과일의 5분의 2는 사과의 수와 같다고 말할 수 있어요 즉, '과일의 5분의 2는 사과다'
라는 뜻 입니다 정리해보면, 이건 비를
나타내는 또 하나의 방법입니다 즉, 사과와 총 과일의 수는
위와 같이 2 : 5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 : ' 을 ' 대 ' 라고 읽고 '2 대 5' 라고 읽습니다 또는 이렇게 5분의 2로 쓰고 '2 대 5 ' 라고 할 수 도 있습니다 즉, 분수로 쓰긴 했지만
비 처럼 읽어도 되는거죠 과일의 5분의 2는 사과다
라고 읽을 수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