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기초 대수학 (Pre-algebra)
코스: 기초 대수학 (Pre-algebra) > 단원 3
단원 4: 빈도표와 점도표자료를 잘못 나타낸 선 그래프
자료를 잘못 나타낸 선 그래프에 대해 알아봅시다. 만든이: 살만 칸 선생님, 몬테레이 공과대학교
동영상 대본
스릴소다는 경쟁사인
냠냠콜라를 이기려고 브랜드를 홍보해 줄
마케팅 회사를 고용했어요 마케팅 회사는 소비자의
음료수 선호도를 조사한 후 연도별로 냠냠콜라를 더 좋아하는
사람들의 백분율과 연도별로 냠냠콜라를 더 좋아하는
사람들의 백분율과 스릴콜라를 더 좋아하는
사람들의 백분율로 나눴습니다 여기는 선호도가 없는 사람들입니다 2006년에는 80%가
냠냠콜라를 좋아했고 12%만 스릴콜라를 좋아했습니다 남은 8%는 둘 다 싫어했거나
딱히 선호도가 없었던 거겠죠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스릴콜라보다 냠냠콜라를 더 좋아했네요 스릴콜라는 아주 힘든
싸움을 하고 있는 거죠 마케팅 회사는 다음 두 그래프를
준비했다고 합니다 이제 이 두 그래프를
살펴보고 혹시 오해의 소지가 있는지
생각해 봅시다 이 두 그래프를 보면 2006년에는 80%가
냠냠콜라를 좋아했고 2007년도에는 76%, 이후로
77%, 73%, 68%로 줄어들었습니다 이건 정확한 자료가 맞습니다 주어진 자료를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것을 보면 스릴소다의 선호도에 대한
그래프도 있습니다 2006년에는 12%만이
스릴소다를 선호했어요 2007년에는 19% 2008년에는 19% 매년 20, 21, 25%까지
올라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프는 정확합니다
거짓말이 아니죠 스릴소다를 좋아하는 사람의 비율을
정확하게 반영했습니다 하지만 왼쪽의 비율을 보지 않고
그래프를 보면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두 가지를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냠냠콜라의 선호도는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게 선 그래프의 장점입니다
전체적인 추세를 보는 거죠 냠냠콜라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수가 해마다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말할겁니다 두 번째는 스릴콜라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할 것입니다 맞습니다 왼쪽 그래프는 감소하고
오른쪽 그래프는 증가합니다 오해할 수 있는 부분은
눈금의 간격입니다 두 그래프의 눈금 간격이
다른 걸 알았나요? 이걸 보면 스릴콜라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걸 보면 스릴콜라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래프의 크기 때문에 추세 자체가
위에 있기도 한 것처럼 보입니다 인간의 뇌는 이 둘을 비교해서 증가하는 추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추세 자체가 더 위에 있다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2006년 조차
오른쪽 측정점이 이 측정점보다 높아 보입니다 실제로는 눈금을 왜곡해서
그렇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래프를 그리는 것은
눈금에 거의 모든 것이 달려있습니다 결국 이 그래프가 스릴콜라에게
좋아 보이는 이유는 한쪽에는 0부터 30까지, 다른 쪽은
0부터 100의 눈금을 썼기 때문이죠 제대로 비교하기 위해선 두 자료를 같은 그래프 위에
나타내야 합니다 만약 그렇게 했다면 스릴소다에게 좋은 자료가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럼 같은 그래프에
한 번 그려 봅시다 냠냠소다의 그래프에는
스릴소다를 그릴 수조차 없습니다 그래프가 50%에서 시작하기 때문이죠 0에서 시작
하지 않기 때문에 스릴소다를 이 그래프에
그릴 수가 없습니다 여기 그리기 위해서는
아래에 눈금을 더 그려야합니다 그럼 더 그려볼까요? 이게 40%가 되고 이건, 30%, 20%
10%가 되도록 해야 해요 더 내려오면 0%가 있습니다 스릴소다는
이쯤에 위치할 것입니다 12%에서 25%까지
상승했으니까 스릴소다의 그래프는
이렇게 생겼을 거에요 두 그래프를
다시 비교해보면 서로 다른 눈금으로
그렸던 것과는 전혀 다르죠? 당연하게 추세는 줄어들고 있지만 더 많은 사람들이 냠냠콜라를 스릴콜라보다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그래프는
비교 할 수 없습니다 이 그래프에서 이 정도 거리의
눈금은 10%입니다 그래서 성장 폭이
매우 큰 것처럼 보입니다 왼쪽 그래프를 보시면
같은 길이가 더 큰 폭을 나타냅니다 여기선 15~16%
정도를 나타냅니다 가장 중요한 건
시작 눈금이 50%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정말로 선호하는지 80%, 70%가 실제로
얼마나 큰지를 보여줄 수 없습니다 오른쪽에서는 0부터 시작하지만
눈금이 크기때문에 그러므로 보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스릴콜라를 선호하는 것처럼
잘못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실에서는 더 많은 사람들이
냠냠콜라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 그래프는 아주 정직하지 못한 방법으로
자료를 나타냅니다 자료를 잘못 나타냈다고도
할 수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