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미분학
단원 5: 수업 10
f, f', f'' 알아보기도함수를 사용하여 정당화하기
함수의 특징과 도함수의 특징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비교해 봅시다. 이러한 방식을 "미분을 사용한 증명"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활용하는지 배워 봅시다.
도함수 f, prime는 기존 함수 f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이를 살펴봅시다.
f, prime으로 f가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알 수 있는 방법
함수의 x값이 증가하면 함숫값도 증가할 때 함수가 증가한다고 함을 기억하세요.
그래프를 보면 이는 오른쪽으로 가면 그래프가 위로 올라간다는 뜻입니다. 이와 상응해 감소하는 함수는 오른쪽으로 갈수록 감소합니다.
이제 f의 그래프는 없고 그 도함수 f, prime의 그래프만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래도 f가 언제 증가하고 감소하는지, 도함수 f, prime의 부호를 이용해 알 수 있습니다.
- 도함수 f, prime가 start color #1fab54, start text, 양, 수, end text, end color #1fab54인 구간(x축 위)은 함수 f가 start color #1fab54, start text, 증, 가, 하, 는, end text, end color #1fab54 구간입니다.
- f, prime이 start color #aa87ff, start text, 음, 수, end text, end color #aa87ff인 구간(x축 밑)은 f가 start color #aa87ff, start text, 감, 소, 하, 는, end text, end color #aa87ff 구간입니다.
함수의 성질을 그 도함수를 이용해 도출하는 것은 미적분학에 근거를 둔 논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흔한 실수: 도함수의 그래프와 부호를 연결짓지 않는 것
도함수의 그래프를 다룰 때에는 다음 두 개의 사실이 동치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 어떤 점이나 구간이 f, prime, left parenthesis, x, right parenthesis, is less than, 0인 것
- 그 점과 구간에서 f, prime의 그래프가 x축 아래에 있는 것.
( f, prime, left parenthesis, x, right parenthesis, is greater than, 0과 x축 위에 있는 것도 같은 관계입니다.)
f, prime로 f의 극소와 극대가 어디에 있는지 아는 방법
함수 f가 어떤 점에 극대를 가지려면 그 점 전에 증가하고 후에 감소해야만 합니다.
최댓값 자체에서는 함수가 증가하지도, 감소하지도 않습니다.
도함수 f, prime의 그래프에서 이는 그래프가 어떤 점에서 x축을 지난다 뜻이고, 따라서 위의 그래프는 점에 도달하기 전에 x축 위에 있고 후에 x축 아래에 있습니다.
흔한 실수: 함수와 도함수의 관계 잘못 이해하기
이전에 보았듯이 도함수의 부호는 함수의 방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성질을 기반으로는 어떠한 정당화도 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도함수가 증가한다는 사실은 함수가 증가한다는 (혹은 양수라는) 사실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또한 도함수가 특정 x값에서 극대나 극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 x값에서 함수가 극대나 극소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연습이 더 필요한가요? 이 연습문제를 풀어보세요.
흔한 실수: 정확하지 않은 언어 사용하기.
함수와 그 도함수의 관계를 볼 때 영향을 미치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함수 자신, 도함수, 함수의 방향, 도함수의 부호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순간에 어떤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인지 확실하게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연습문제 4에서 h가 증가한다는 사실에 대한 옳은 미적분학에서의 정의는 h, prime가 양수라고 하거나 x축 위에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한 학생의 정의는 x축 위에 있다고 한 것이었습니다. 이 정의는 무엇이 x축 위에 있는지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h의 그래프였을까요? h, prime의 그래프였을까요? 아니면 다른 것일까요? 상세히 말하지 않으면 정의는 옳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