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미국 4학년
코스: 미국 4학년 > 단원 1
단원 5: 자릿값과 10의 관계자연수에 10 곱하기
자연수에 10씩 곱하여 규칙을 찾아봅시다.
대화에 참여하고 싶으신가요?
- 수에 10을 곱해주면 매우 깔끔하다는게 무슨 소리죠?(추천 1 번)
동영상 대본
수에 10을 곱해주면 수가
매우 깔끔해집니다 몇 개의 예를 통해서 규칙을
발견할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이미 알고 있는 수로 시작해 봅시다
2 곱하기 10을 해보죠 답을 이미 알고 있겠지만
단순히 답보다는 그 과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봅시다 2 곱하기 10은
10이 2개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혹은 10 더하기 10이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10 더하기 10도
20으로 값이 같습니다 이미 2 곱하기 10이
20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계산하는 과정을
생각할 필요가 없었어요 그래도 2 곱하기 10이
의미하는 것을 알아보면 더 어려운 문제를
푸는데에 도움이 될 겁니다 조금더 어려운 문제를 다뤄볼게요 5 곱하기 10을 해봅시다 즉, 10이 5개가 있는 것이겠죠? 혹은 10 더하기 10에 세 번째 10 네 번째 10, 다섯 번째 10을
더 더한 것이 되겠네요 즉, 10이 5개가 있는 겁니다 그리고 각 10을 함께 더해줄 겁니다 10, 20, 30, 40, 50 즉, 답은 50이겠네요 10이 5개 있어서 50
혹은 5 곱하기 10은 50 입니다 한 문제를 더 봅시다
이번 것은 암산하기 어려울 겁니다 13 곱하기 10을 해봅시다 답을 바로 모를수도 있어요 그러나 적어도 10이 13개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10이 13개
있는 것을 셀 수 있어요 10 더하기 10 에 또 하나의 10 넷, 다섯, 여섯 개의 10과
일곱, 여덟, 아홉, 열 거의다 구했습니다
열한 개의 10, 열두 개의 10 끝내 13번째 10을 더했네요 확인해 봅시다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열 열하나, 열둘, 열셋
총 열세 개가 맞습니다 여기에 10이 13개 있으니
얼마나 될지 세어 봅시다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즉, 답은 130입니다 여기서 잠시 동영상을 멈추고 이 과정이 어떤 규칙을
보여주는지 먼저 생각해 보세요 2 곱하기 10은 20 이고
5 곱하기 10은 50 이며 13 곱하기 10은 130 입니다 함께 다뤄보았던 경우에서 보았듯이
시작했던 수를 그대로 두고 뒤에 새로운 수 하나를
추가하여 답을 만들었는데 그 수는 바로 0 입니다 자연수에 10을 곱할 때는 항상 원래 수를 유지하고 뒤에 단순히 0을 붙여주면 됩니다 이제 중간 계산 과정을
건너뛰고 바로 답을 찾아 봅시다 조금 더 예측하기
힘든 문제를 내볼게요 49 곱하기 10은 어떨까요? 앞의 규칙을 이용하면
49는 유지하고 끝에 0을 붙일 거에요 즉, 490이죠
10이 49개 있는 것과 같습니다 10개의 49를 직접 세어보아도
490이라는 똑같은 값을 같습니다 더 어려운 문제를 봅시다 723 곱하기 10은 어떻게 될까요? 앞에 함께 해봤던 과정에 따라 723 끝에 0을 붙여서 7230이라는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가만히 보면, 그 답은 원래 있던 수에 단순히 0을 붙인 수임을 알 수 있어요 이제 한 단계를 더 나아가
자릿값을 생각해 봅시다 수에 10을 곱해주는 것이 각 자릿수에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아볼게요 자 여기에 자릿값 표가 있습니다 2 와 같은 쉬운 수부터
시작해 봅시다 2는 1이 2개 있는 겁니다 여기서 2 곱하기 10을 하면 2는 한 단계 위의
자리로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이때 생긴 오른쪽
빈 자리를 0으로 채워줍니다 즉, 2 곱하기 10은 20 이고
자릿값을 생각해보면 2는 한 단계 위의
자리로 이동했습니다 즉, 일의 자리에서
십의 자리로 간 것이고 왼쪽으로 한 칸만큼 이동했습니다 조금 더 어려운 경우를 살펴보죠 723을 해봅시다 723 곱하기 10을 할 때 7은 왼쪽으로 한 칸 이동해서
천의 자리로 가고 2는 백의 자리로 그리고 3은
십의 자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다시 끝에
빈자리에는 0을 붙여줍니다 즉, 수에 10을 곱해주는 것은 자연수의 끝자리에
0을 더해주는 겁니다 또한 자릿값으로 말하자면 모든 자리 숫자가 한 단계
왼쪽으로 올라가는 것입니다 이 방법으로 해보면 어떨까요? 27로 해봅시다 27 곱하기 10을 한다면 2는 한 단계 위의 자리로 움직여서 백의 자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7도 한 단계 만큼
자릿값이 올라가서 십의 자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끝에 빈자리를
0으로 채웁니다 즉, 27 곱하기 10은
270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수에 10을 곱하는 것은
원래 수의 끝에 0을 더해주거나 혹은 자릿값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규칙을 만들어냄으로써 예와 같은 문제들을
쉽게 풀 수 있도록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