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기초 기하학
코스: 기초 기하학 > 단원 5
단원 4: 평행사변형의 넓이 (초등5학년 1학기 5단원)평행사변형의 넓이
평행사변형 넓이 공식은 밑변 곱하기 높이입니다. 왜 평행사변형 넓이 공식이 직사각형 넓이 공식과 같은지 알아봅시다.
동영상 대본
밑변이 b, 높이가 h인
직사각형이 있습니다 이 직사각형의 넓이를
어떻게 구하는지 알고 있지요 직사각형의 넓이는
밑변 곱하기 높이가 됩니다 자, 이제 평행사변형을 봅시다 밑변은 여전히 b 이고
높이도 여전히 h 입니다 여기서의 높이는
기울어진 변들의 길이가 아니라 이 위의 변에서
수직으로 똑바로 내리면 밑변에 닿게 되는 선의 길이가 바로 평행사변형의 높이입니다 이제 이 평행사변형과
높이를 알게되었으니 넓이는 무엇이 될까요? 직사각형을 다루는것만큼
명확해 보이지 않지만 약간의 변화를 주면
이해하기 쉬울 거예요 왼쪽의 삼각형 부분을 떼어서 오른쪽으로 옮겨 볼까 합니다 그러면 놀라운 것을
볼 수 있을거에요 여기 있는 이 부분을
잘라서 붙이면 아직은 평행사변형이죠 하지만 이부분을
움직일거에요 우리가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구하고 있다는걸 잊지마세요 이 부분을 가져다
오른쪽에 놓아보겠습니다 어떤 일이 일어났나요? 직사각형처럼 보인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평행사변형의
부분을 옮겨서 저는 이 직사각형을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이 두 도형은
넓이가 같게 됩니다 이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혹은 전에 평행사변형이였던
이 직사각형의 넓이는 마찬가지로 밑변 (b) 곱하기
높이 (h) 가 됩니다 저는 여기 있었던 이 부분을
오른쪽으로 옮겼을 뿐입니다 다시 이 도형을
평행사변형처럼 보이게 바꾸고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를 안다면 밑변 (b) 곱하기 높이 (h) 가 됩니다 결국 이 두 도형의 넓이는 둘 다
밑변 (b) 곱하기 높이 (h)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