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대수학 1
왜 곱셈기호를 사용하지 않나요?
이번 수업에서는 대수학에서 왜 곱셈기호를 사용하지 않는지 알아봅시다. 만든 이: 살만 칸 선생님
동영상 대본
이제 변수에 대해
어느 정도 알게 되었습니다 지난 번에 변수는
어떤 기호로든 나타낼 수 있다고 했습니다 보통 문자를 사용하지요 문자를 쓰거나 입력하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x, y, z, a, b 등
어떤 것이든 가능합니다 종종 θ(세타) 같은
그리스 문자도 쓰죠 상황에 따라
적절한 변수를 택하면 됩니다 여러 가지를 동시에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쓰여진
변수들 중에서 대수학 또는
수학 전 분야에 걸쳐 가장 많이 쓰이는 건
바로 x입니다 여기에 있는 각각의
변수들도 어느정도 쓰이지만 x를 가장 많이 사용하지요 여기에 약간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x가 곱셈 기호처럼
생겼다는 겁니다 연산에서 쓰는
그 곱셈 기호말입니다 예를 들어
2 x 3 을 쓰면 변수를 사용해서 2 곱하기 x를
나타내려고 할 때 여기 있는 곱셈 기호를
사용하게 되면 2 × x라고 쓰게 됩니다 곱셈 기호와
변수 x는 매우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그래서 글씨를 쓸 때
아주 조심하지 않으면 혼동을 줄 수 있습니다 이것은 2xx라는 말인가요? 아니면
2 곱하기 곱하기란 말인가요? 바로 이 부분이
굉장히 헷갈리기 때문에 잘못 해석될
가능성이 있지요 그래서 대수학에서는
곱셈 기호를 잘 안 씁니다 곱셈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몇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2 곱하기 x를 쓰지 않고 2 • x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기억하세요
이 점은 소수점이 아닙니다 ' • ' 은 소수점보다
조금 더 위에 표시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문자들 사이에 있어도 혼동을 주지 않습니다 어쨌든 이 부분은
2 곱하기 x라고 해석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x=3일때 2•x은 얼마인가" 라고 하면 2 곱하기 3과 같다고
하면 됩니다 또 다른 방법은 2를 쓰고 나서
괄호 안에 x를 쓰는 방법입니다 이 식도 역시
2 곱하기 x라고 해석합니다 만약 x=7이면 2 곱하기 7이 되어
계산 결과는 14가 됩니다 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은 2 옆에 바로
x를 쓰는 것입니다 2x 라고 읽으며 2 곱하기 x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왜 항상
이 방법을 쓸 수는 없을까요? 위 식을 이렇게 쓰면
헷갈릴 수 있기 때문이죠 2 × 3을 쓰지 않고
2 3이라고 쓰면 23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숫자 사이에는
곱셈기호를 생략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식에서는
문자를 썼기 때문에 x가 일의 자릿수가
아니라는 것이 확실합니다 즉, 이십 얼마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2x의 의미는
2 곱하기 변수 x입니다 여기 있는 식은
모두 같은 식입니다 모두 2 곱하기 x를
의미합니다 이제 몇 가지
예제를 풀어봅시다 함께 문제를 풀면서 연습문제 대비를
할 수 있을 겁니다 y = 2 일 때 10 - 3y 의 값은
얼마입니까? y가 보일 때마다 2를 대입합니다 그렇다면 10 - 3 × 2와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곱셈을 먼저 합니다 연산을 할 때
곱셈을 먼저하지요 3 곱하기 2는 6 10 - 6 = 4가 됩니다 다른 문제를
하나 더 풀어봅시다 7x - 4라는 식이 있습니다 x = 3일 때
식의 값을 구하려고 합니다 x 자리마다
3을 대입합니다 7 × 3이 됩니다 여기서는 이 괄호를
이용한 방법으로 써 보겠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곱셈은 덧셈이나 뺄셈보다
먼저 계산합니다 계산하면 7 곱하기 3은 21
21 - 4 = 17이 됩니다 이 강의가 배경 지식을 쌓는데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이어지는 연습문제를
풀어보세요 식의 값 계산을 연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