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대수학 1
변수란?
이번 수업에서는 변수는 식에서 다른 값들을 나타내는 단순한 기호라는 것에 대해 알아봅시다. 만든 이: 살만 칸 선생님
동영상 대본
레스토랑에서 일하면서
시간 당 10달러를 번다고 합시다 거기에 매 시간 팁을
추가로 받는다고 합시다 이 식은 한 시간에
버는 돈을 나타냅니다 시간에 따라
이 팁의 액수는 변할 겁니다 점심 시간에는
많은 팁을 받을 수도 있고 한가한 시간에는
팁이 거의 없을 겁니다 이 팁은 상황에 따라 바뀌는
변수라고 할 수 있죠 예를 들어 점심 시간에
30달러의 팁을 받았다고 합시다 그럼 한 시간에 번 돈은
10달러 + 팁 30달러가 됩니다 따라서 총 40 달러가 됩니다 점심 시간이 끝나고 레스토랑이 한가해집니다
옆에서 큰 세일행사가 열렸나봅니다 한가한 시간에는 팁이 크게 떨어져서
한 시간에 5달러를 벌었습니다 이 시간에 번 수입은기본 시급에
팁 5달러를 합해 총 15 달러입니다 보다시피 식의 값은
변수인 팁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체로 변수는 단어가 아닌
간단한 문자로 표현합니다 이 경우 팁(tips) 대신 t를 써서
10 + t 라고 나타냅시다 t는 한 시간 동안
받은 팁이죠 t = 30이면 어떻게 될까요? t = 30이면 식의 값은
10+ 30 = 40 이 됩니다 t = 5 이면 어떨까요?
10 + 5 = 15와 같습니다 다른 기호로도 변수 이름을
표현할 수 있지만 보통은 문자로 나타내죠 t 대신 x를 쓸 수 있지만
tips의 머릿글자가 아니어서 부자연스럽네요 10 + ★ 로도 나타낼 수 있죠
이 경우 ★이 팁을 의미하죠 쉽게 이해되지 않을 수 있지만 변수가 무엇인지
대략적으로나마 이해하길 바랍니다 변수는 상황에 따라
값이 변하는 기호입니다 변수라고 부르는 이유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