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색역의 소개
색역은 한 기기가 나타낼 수 있는 모든 색의 범위를 의미합니다. CIE 색도도의 한 부분으로 나타내어집니다.
동영상 대본
이전 문제로 다시 돌아가 봅시다 저희가 제작한 영화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상영됩니다 예를 들어 영화가
상영될 수 있는 스크린은 모니터 혹은 프로젝터가
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른 문제가 발생합니다 두 디스플레이 모두 같은 순수
빨간색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보여지는 색상은 서로 다르죠 여기서 문제는
모니터나 프로젝터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인지할 수 있는 색상들의 일부분만
나타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음은 한 개의 파장을
빨간, 초록 노란색을 나타내지만 두 장치들은 다르게 인식합니다 해당 스크린은 다른 스크린에 비해 더 깊은 빨간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CIE 그림에서
순수 빨간, 초록 파란색은 그림의 모서리인 여기, 여기 그리고 여기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일반 RGB 모니터는 순수 빨간 초록 파란색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해당 색들을 나타내려한다면 표시된 이 세 점쯤을 나타낼 수 있겠네요 디스플레이는 해당 색만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검은색 삼각형 안의 색깔만 나타낼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영역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장치가 나타낼 수 있는 색깔의 범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학자들은 색영역을 인지할 수 있는 색의
부분집합이라고 합니다 해당 집합의 크기는
영화 제작자들에게 중요합니다 가능하면 가장 큰 팔레트를 사용해 색을 칠하고 싶기 때문이죠 사용할 색이 많으면
더 큰 표현의 자유가 생기죠 긴 시간동안 영화는 큰 색영역을 가진 필름을 통해 상영되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프로젝터로 옮겨갔죠 이는 필름과 다른 색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얼마 전에는 레이저를 사용한 디지털 프로젝터가 나왔습니다 이는 필름보다
더 큰 색영역을 가지고 있죠 이게 거의 한 개의 파장을 가진 레이저 빛을 사용하는 이유죠 순수한 빨간, 초록, 파란색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실질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기기에 상관없이 어떻게 영화가
좋아 보이게 할 수 있을까요? 색영역이 다른 기기들에서 말이죠 다음 활동을 진행하며 이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