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컴퓨터과학
문자 언어의 기원
만든 이: Brit Cruise
동영상 대본
상상해 보세요 앨리스의 아주 먼 조상인 밥을 찾아
50000년전으로 여행 한다고요 이 시대 인간의 문화는
비교적 복잡하지 않았습니다 수천 년간 변하지 않고 있는 원시 시대 석기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대략 50,000년 전에 무언가 재미있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누구도 확실한 이유는 모릅니다 다양한 것들이 갑작스럽게 생겼습니다 문화공예품들 음악 다른 창의적인 표현을 하기 위한
새로운 도구가 생겼습니다 인류는 내재된 생각들을 표면화하기 위한 능력을 개발했습니다 언어를 사용해 소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앨리스는 물을 찾으면서
밥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앨리스는 인간과 동물이 강을 향해 혹은 따라 이주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생태계의 생명소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결국 앨리스는 매우 흥미로운
밥의 손자국을 발견 했습니다 이 표시는
거의 정보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 단순히 밥이 여기에 있었고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습니다 앨리스는 밥이 자신과 같은 지능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압니다 밥은 말로 소통할 수 있고 그가 살던 시대의 문화엔 그의 모국어로는 읽고 쓰는 능력이
개발되지 않았더라도 그 시대에는 일반적인 문자언어는
예술이었습니다 그래서 밥이 돌아올 경우를 대비해
그림을 그려두기 위해 앨리스는 주변의
천연재료를 찾았습니다 앨리스는 자신의
행방에 대한 단서를 주길 바라며 자신을 따라다니던 동물을 그렸습니다 우리의 조상들은
자연적인 재료를 활용해 그들의 현실을 반영한 그림을
그렸습니다 이것은 실제 동굴 벽화입니다 30,000년 전에 발견되어 프랑스의 쇼베동굴 깊숙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비슷한 작품이 스페인의 동굴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조상들의 그림에서 공통적인 주제는 사람의 손과
동물의 형체입니다 서명이거나 이야기가 담겨있거나 종교의식일 수도 있습니다 밥이 폭포로 돌아왔을 때 밥은 앨리스의 그림을 봤고 강을 건너 앨리스가 있을 것 같은 장소에 도착했지만
앨리스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 곳에는 앨리스가
왔다 간 흔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밥은 자신이 어디에 갈 것인지 설명하는
그림을 그리기로 했습니다 그 곳은 강 중턱에 위치하고 태양이 뜨는 곳과 마주했죠 밤이 다가오고 있었기 때문에 밥은 그림 그릴 시간이
얼마 없었습니다 그래서 밥은 메시지를 시각화할 빠른 방법이 필요했어요 밥은 잠시 생각하더니 메세지는 오직 중간, 강, 서쪽 이 다른 세 개의 단어만
포함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간단한 그림을 통해 나타내기로 결심했습니다 강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원래의 모습을 닮은 상징을 그렸고 이는 픽토그램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픽토그램은 상징하는 바를 닮은 그림을 뜻합니다 픽토그램은 글쓰기의 발전에 중요한 발판이 되었습니다 이것은 이집트에서 발견된
기원전 3000년의 의식행사를 위한 슬레트 팔레트 입니다 배경에 나오는 장면은 문명화된 인간과
야생적이고 맹렬한 동물들 사이의 투쟁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차분한, 나이 든, 위험한이나 밥의 경우인 중간같은
추상적인 단어들은 그림으로 나타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밥은 선을 그리고 선 중간에는 상자를 그렸습니다 이는 반절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표의문자입니다 혹은 추상적 개념 그림이라고 합니다 고대 중국 청동 비석에
쓰인 것과 같은 기호입니다 밥은 서쪽을 표현하기 위해
떠오르는 태양 그림을 그려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밥이 흥미로운 것을 합니다 각각의 기호들을 의미와 맞게 결합해서 의미가 더해지고 빠지고 새로 만들어져 메세지가 되었습니다 밥은 앨리스가 보길 바라며
메세지를 남겼습니다 초기에 발견된 기호들을 더해 표현된
몇 개의 고대 유물들은 현재 이라크인 수메르인이 살던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됩니다 이 장소는 고대문명의 발상지로 이곳에선 회계 업무에 쓰인 점토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일부는 정말 오래되었고 기원전 3000년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도 있습니다 직사각형 모양의 태블릿에는 소의 값 지불, 살을 찌우기 위해 양치기에게 소를 운송하는법 또 소가 주는 것들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 10마리의 양을 그리는 대신에 10을 나타내는 표시를 그렸고 또 다른 표시로 양이나
망아지를 나타냈습니다 10마리의 양을 나타낸 것이죠 이를 흔히 원형필기라고 부릅니다 마침내 앨리스는
강의 하류에 돌아왔고 밥이 남긴 메시지를 발견했습니다 앨리스는
강 서쪽의 중간 지점이라는 메시지의 의미를
정확히 해석했습니다 그래서 앨리스는 떠오르는 해를 등지고 목적지를 향해 갔습니다 결국 둘은 만났습니다 시간에 걸쳐 밥은
앨리스의 언어를 배웠습니다 그들은 똑같은 언어를 구사해서 소통하고 개념과 생각을 공유했습니다 이는 그들에게 문자언어의 핵심이 무엇인지 가르쳐주었습니다 간단하게 앨리스의 이름을 쓰는 것으로 시작했죠 앨리스는 그림을 이용해 소리를 분리시켰습니다 그녀의 이름, Alice, Alice, All ice 그녀는 all을 나타내는 수학 기호와 ice를 나타내
그림기호를 합쳤습니다 All ice 앨 리스 그녀의 이름은 개별적인 문양들과 상관없다는 걸 명심하세요 소리와 소리를 더해
새로운 의미를 만듭니다 이것은 레부스 체계라 불립니다 이것에 대한 좋은 예가 이집트의 나일강을 따라 발견됐습니다 기원전 3100년 정도에 있었던 최초의 상형문자 또한
발견되었습니다 나르메르 팔레트는 이집트의 파라오인
나르메르를 나타냅니다 뒤쪽을 보면
그가 무릎을 꿇고 있는 죄수의 왼쪽에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 죄수는 왕관을 쓰고 서있는 나르메르한테 제압당하고 있죠 우리가 보려는 것은 다른 면에 있습니다 맨 위의 소머리 그림들 사이에 그의 이름이 새겨진 게 보입니다 생선과 끌이라고 쓰여있군요 이것은 nar와 mer라고 해석됩니다 나르메르 두 개의 그림으로
분리된 소리들이 합쳐져서 새로운 뜻을 만듭니다 문자 언어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전이지요 하지만 알파벳으로 발전시키기 전까지 그럴만한 계기가 필요했습니다 그들은 시간을 절약해야 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