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컴퓨터과학
토론: 우리 삶에서의 알고리즘
이제까지 알고리즘을 간단히 소개하고 약간의 예제를 다뤄봤습니다. 더 깊이 들어가기 전에 여러분 각자가 생각할 수 있는 알고리즘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고 싶네요.
아래의 질문들에 의견을 남기고 다른 학생들이 쓴 내용도 확인해 보세요.
- 여러분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무엇인가요? 알고리즘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어줄 프로그램을 생각해 볼 수 있나요?
- 여러분이 좋아하는 게임이나 앱에서는 어떤 알고리즘이 쓰이고 있나요?
- 어떤 프로그램을 위한 알고리즘을 만든 적이 있나요? 어떻게 만들었는지, 그리고 그 알고리즘이 정확하고 효율적이었는지 알려주세요!
답변은 질문 탭이 아닌 조언 & 감사 탭에 남겨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대화에 참여하고 싶으신가요?
-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교통수단을 이용한 최소금액 구하기?(최소 비용)
(* 도보, 수영, 자전거, 카플 등은 제외합니다.)
=============================================================
교통수단은 운임 비용을 지불하는 수단을 말합니다.
- 버스
- 자동차
- 기차
- 전철
- 배
이런 것도 알고리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건가요?
가령, 초저가 항공으로 김포공항에서 부산공항까지 30,000원에 갈 수 있고, 부산공항에서 부산역까지 2,000원을 지불하여 목표지점에 도착할 수 있다면 이것이 최소 금액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은데요.
저런, 상황 자체는 시기성의 문제가 있는 거 같은데... 4월에는 저가항공사에서 30,000원의 금액에 갈 수 있었지만, 5월에는 40,000원에 갈 수 있다고 하면 또 다른 최소 금액에 대한 방법이 고려되야 할 거 같은데요.
이처럼, 시간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는 데이터도 알고리즘을 만들 수 있는 건가요? 아님 질문 자체에 '지금 현재 시간' 기준이라는 단서가 필요한 건가요?(추천 8 번)- 그런 경우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두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동사항들이 예측 가능 할 경우에는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하든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겠죠!(추천 3 번)
- 라면을 끓이는 알고리즘
1. 냄비에 물넣기
2. 인덕션이나 가스레인지에 냄비올려서 가열하기
3. 스프와 라면 넣기
4. 3분간 기다리기
5. 식탁으로 가져와 냠냠쩝쩝 후루룩챱챱 먹기(추천 7 번) - 알파고도 엄청나게 많은 알고리즘이 모여서 만들어진거아닌가요?(추천 5 번)
- 네비게이션에서 최단거리, 최소거리, 금액 등으로 구분해서 몇가지 경로를 추천해 주는 데 모든 것을 고려한 가장 최선의 루트를 알고리즘으로 설정할 수 있을까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로 최선의 루트를 추천할 수 있을 까요?>(추천 4 번)- 최선의 결과값을 위해서는 적절한 기준이 제시되어야 합니다. 목적지까지 다다르기 위한 방법이 여러가지 있는데 각각 거리, 요금을 기준으로 최선의 알고리즘이 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죠. 반대로 질문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거리와 금액을 하나로 잡아서 최선을 찾는다면 어떤 기준을 갖고 계신건가요? 아마 대답하기 힘드실 겁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하겠지만 각각 선택에 따른 기회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어떤 기준에서 최선이라 함은 다른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손해를 감수하겠다는 뜻입니다. 최선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시면 좋겠네요. 또한 '빅데이터로 최선의 루트를 추천한다' 함은 한 가지 예를 들면 통계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가는 경로를 추천해줄 수 있겠지만, 그것이 꼭 거리나 요금 방면에서 최선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사람들의 선호도 측면에서 최선일 수는 있겠지만요.(추천 2 번)
- 네이버 지도 길찾기에서의 최단 길찾기도 알고리즘이 포함될겉같습니다(추천 3 번)
-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어떻게 사용자들에게 영상을 추천하는지 궁금합니다.
유튜브 같은 경우에서는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되는 것인가요?(추천 3 번)- 1. 각종 영상을 분석해 영상의 종류를 나눈다.
2. 사용자가 자주 보는 영상의 종류를 파악한다.
3. 그 종류의 다른 영상들을 추천해준다.
간단하게 이 정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좋아요 부탁드립니다.(추천 2 번)
- 어떠한 알고리즘에서 두개의 값이 같은 경우 ai에서 최종결론을 낼때2가지 중에 한가지를 랜덤으로 선택하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1번으로 미는 건가요?(추천 2 번)
- 간단한 계산기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만들어 봤습니다. 그러나 실제 사용하는 계산기와 는 다르게 단순한 계산만 가능했습니다.(추천 2 번)
-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인가요?
알고리듬은 무엇인가요?(추천 2 번) - 경찰과 도둑
도둑이 도망 칠 수 있는 경로 a, b, c 지점이 있다.
A지점까지 10미터 이나 길이 험하다.
B지점까지 30미터 이나. 골목길이며 길이 평평하다.
C지점까지 50미터 직선 길이다.
도둑이 경찰을 피해 가장 빠르게 갈 수 있늗 길을 택하라.
도둑은 약 시속 30km 속도로 달리기를 할 수 있다.
경챃은 시속 31km 속력으로 달리기를 할 수 있다.
도둑은 경찰보다 1km 뒤쳐진다.
근력은 경찰보다 더 적을 것으로 추측 해본다.
도둑은 이미 정해진 경로를 판단해서 가는 것이 아니다. 그저 그쪽 지리를 잘 알고 있다.
전에 도둑은 a지점으로 갔을때
10분이 걸렸다.
B지점으로 갔을때는 20분이 걸렸다
c지점으로 갔을때 5분이 걸렸다
상상해보자(추천 2 번)